Seoul Han Orthopedics Clinic
서울 한 정형외과
Status: Built
Type: Interior Design
Program: Clinic
Location: Deungchon-dong, Gangseo-gu, Seoul-si, South Korea
Area: 3,500 sqft
Design: Aleesong
Contractor: STORYVIEW
Photography: Mihyun Son
Graphic Design: Patrick Yang MacDonald
Existing Context The orthopedic clinic is located on the second floor of the Biwon Building, directly outside of Deungchon Station on Seoul Subway Line 9 in Gangseo-gu. The southern façade overlooks a nine-lane arterial road and, beyond it, a triangular-shaped plot of land formed by intersecting streets. This plot, not insignificant in size, is dotted with twelve tall pine trees and a stone bench, giving it the feeling of a small urban park.
Waiting and Treatment Patients typically remain in the clinic for one to two hours per visit. During the treatment, the therapist stays nearby, observing and actively assisting. When using machines, the patient remains seated or lying down alone for a period of time. Among all the areas in the clinic, the spaces where patients spend the most time were designed with the duration and sensitivity in mind. Slightly unfamiliar hues, soft-emitting light, gloss that catches reflected colors, and textures that appear deeper with shadow—all were considered as part of the design.
Corridor The southern waiting area—facing the main entrance—is filled with warm sunlight and gives off a welcoming atmosphere. The northern waiting area, on the other hand, is used for physical therapy and receives soft blue light from the northwest, offering a sense of calm. The two waiting areas are connected by a corridor, and as one walks along it, the light from the windows at both ends gradually overlaps, shifting the color and tone of the space.
The Small Vestibules Between the larger shared areas and the more intimate, purpose-specific spaces, one always passes through a small vestibule. These vestibules feature dark gray floors, green-painted larch wood walls, and light blue ceilings.
The Green Larch The larch plywood panels were left mostly raw, minimally sanded, painted with multiple layers of green, and then treated with a flame-retardant finish. Depending on the light, the larch grain appears more pronounced, or sometimes simply reading as a flat green plane, and at other times showing subtle shifts in tone. The impression of green also changes depending on the colors nearby.
진행 단계: 완공
프로젝트 유형: 실내디자인
프로그램: 의원
위치: 대한민국 서울시 강서구 등촌동
면적: 100평 (330 제곱 미터)
설계: 아리송
시공사: 스토리뷰
사진: 손미현
그래픽 디자인: Patrick Yang MacDonald
기존의 맥락 서울 한 정형외과는 서울시 강서구 9호선 지하철 등촌역 바로 앞 비원 빌딩 2층에 위치해 있다. 남쪽으로는 9차선 대로변을 면해 있고, 그 너머 여러개의 교차하는 도로들이 만들어낸 삼각형 모양의 땅을 보고 있다. 제법 작지 않은 땅으로, 키가 상당한 열두 그루의 소나무와 돌로 만든 작은 벤치가 있어 작은 쉼터와 같다.
대기 및 치료 환자들은 한번 방문시 1시간에서 최대 2시간까지도 병원에 머무르게 된다. 치료사 선생님이 옆에서 살펴보고 직접 치료를 해주실 때도 있고, 기계를 사용한 치료인 경우 환자 혼자 특정 시간 동안 앉거나 누워있는 상태로 시간을 보내게 된다. 정형외과의 공간들 중 특히 환자가 많이 머무르게 될 공간은 그 시간의 길이와 그리고 그동안 예민해져 있을 감각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약간은 낯선 공간의 색, 잔잔하게 뿜어내는 빛, 반사되는 색을 담아내는 광택, 그림자로 더 또렷해지는 재료의 결과 깊이 같은 것들이다.
복도 주 출입구로 처음 들어와서 마주하는 남쪽 대기실은 따뜻한 햇빛이 들어와 환영하는 느낌이라면, 북쪽에 위치한 물리치료 대기실은 서북쪽의 차분한 푸른빛을 받아 아늑함을 준다. 두 대기실은 복도로 이어져 있고, 복도를 따라 걷다보면 양쪽 끝에 나 있는 창으로 들어오는 다른 종류의 빛이 공간의 색감과 분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작은 현관 넓거나 혹은 긴 공용공간으로부터 좀 더 친밀한 규모와 목적성을 가진 공간으로 들어갈때, 늘 작은 현관과도 같은 공간을 거치게 되어있다. 작은 현관들은 진회색 바닥, 초록의 낙엽송으로 된 벽, 그리고 연한 하늘색의 천장으로 되어 있다.
초록색 낙엽송 사포질을 강하게 하지 않은 거의 그대로의 낙엽송에 초록색 페인트를 여러 차례 칠하고 마지막으로 방염 처리를 했다. 빛에 따라서 낙엽송의 결이 더 깊어지기도, 혹은 그저 초록의 면처럼 보이기도, 조금씩 다른 색조의 초록으로 보이기도 한다. 어떤 색 근처에 있느냐에 따라서도 초록의 느낌이 달라진다.